뭉치면 죽고 흩어지면 산다? 통장쪼개기를 알아보자!
통장 잔고를 볼 때마다 한숨이 나온다면....
견물생심!
물건을 보면 욕심이 생깁니다. 사람은 누구나 많고 적을 수는 있지만, 좋은 물건을 보면 가지고 싶고, 좋은 곳에서 좋은 생활을 지내고 싶어 하는 것이 당연합니다. 하지만, 만약 당신이 사고 싶은 것을 모두 사고, 하고 싶은 것을 모두 한다면 어마 무시한 자산가가 아니라면, 당신의 통장은 텅텅 빈 텅장이 되어버릴 것입니다. 혹시 당신의 현재의 수입이 좋아서 괜찮다고 생각하였나요? 정말 안타깝게도 우리의 몸은 지금 이 순간에도 노화가 되고 있고, 일을 할 수 없는 순간이 한 걸음씩 다가오고 있다. 그때가 되어 무지막지한 소비로 텅텅 빈 텅장으로는 우리의 삶을 안락하게 누릴 수 없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생각해보면
1. 소득을 늘린다.
2. 더 오래 일을 한다.
3. 자산을 현명하게 관리한다.
소득을 늘리거나 더 오래 일을 할 수 있도록 나의 가치를 올리고 유지시키는 것은 오랜 시간과 살을 깍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가장 빠르게 할 수 있는 방법인 자산을 현명하게 관리하는 방법 '통장 쪼개기'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통장 쪼개기란?
'통장을 여러 개로 나누어서 용도에 맞게 활용하는 방법'
하나의 통장으로 돈을 관리하게 될 경우에는 나의 수입과 지출 내용을 제대로 파악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내가 어떻게 돈을 벌고 어디에 사용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자산을 관리하는 것의 기초입니다. 특히 나의 소비 패턴을 파악하여 과소비를 줄이고 계획적인 소비를 하도록 만드는 것이 자산 증식의 시작일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1개의 통장을 4개의 통장으로 쪼개어 관리하려고 합니다.
4개의 통장은 바로 '생활비 통장, 재테크 통장, 예비비 통장, 비상 자금 통장'입니다.
통장 쪼개기를 해야하는 이유
1. 소비 통제를 하기 위해서
밑빠진밑 빠진 독에 물을 채우는 것처럼 어리석은 짓은 없을 것입니다. 아무리 부어도 채울 수 없고, 채웠다고 하더라도 그 양이 금방 빠져나가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소비를 조절하지 못한다면, 밑 빠진 독에 물을 채우는 것과 다른 것이 무엇일까요? 통장 쪼개기는 미리 필요 금액에 따라 통장을 나누어 놓기 때문에 과소비를 막아주고, 예산에 맞추어 사용하도록 하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2. 계획적인 소비를 하기 위해서
통장 쪼개기를 하기 위해서는 우선 나의 소비를 파악하고, 소비에 맞게 예산을 분배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그 과정 속에서 나의 소비 성향을 파악하고 지출의 유형(고정지출, 변동지출)과 재테크(저축, 투자, 채무) 등을 파악하여 그에 맞는 예산을 분배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통장 쪼개기를 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통장 쪼개기의 방법
통장 쪼개기는 크게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다.
-
수입 및 지출 유형 파악하기
-
수입 및 지출 유형을 바탕으로 지출 계획 세우기
-
지출 계획을 바탕으로 통장 쪼개기
1. 나의 수입과 지출의 유형을 알아보자
ㄱ. 수입
- 정기적 수입(월급, 임대수익 등)
- 비정기적 수입(상여금, 보너스, 투자 수익 등)
ㄴ. 지출
- 고정지출 (대출 원리금, 저축투자, 노후자금, 보장성 보험 등)
- 변동지출 (식비, 월세, 경조사비, 교육, 복지 비용 등의 생활비용)
- 예비 지출 (비상금, 사고로 인한 지출, 오랜만에 본 지인의 자녀에게 주는 용돈 등)
2. 유형을 바탕으로 지출 계획을 세워보자
ex) 4인 가족 월 350의 가정을 기준으로 예시를 만들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생활비 : 정기 수입의 40%(정기 수입의 10% x 가족수) =140만 원
- 노후자금 : 연금펀드(정기 수입의 10%) = 35만 원
- 보장성 보험 : 생명보험, 실손보험 (정기 수입의 10%) = 35만 원
- 대출 원리금 : 자가 구입 대출금(정기 수입의 15%) = 52만 5천 원
- 저축 투자 : 저축 및 투자 금액(정기 수입의 15%) = 52만 5천 원
- 지출 예비비 : 예산 외 비용(정기 수입의 10%) = 35만 원
- 비상금 : 정기 수입 X 3~6 (비정기 수입 활용)
3. 지출 계획을 바탕으로 통장을 쪼개 보자.
- 생활비 통장 : 변동 지출 비용처리 통장(생활비)
- 재테크 통장 : 기본적으로 월급이 들어오는 통장으로 정기적인 지출 비용처리 통장(노후자금, 보험, 대출, 저축 투자)
- 예비비 통장 : 급작스러운 지출 대비 통장
- 비상 자금 통장 : 실직 및 천재지변 등으로 인해 수입이 없을 시 혹은 급하게 많은 돈이 필요할 때를 대비한 통장
위의 방법을 통해 통장을 쪼개어 관리한다면 기본적으로 과지출로 인한 자산 유출을 막을 수 있을 것입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경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상을 바꾸어 버린 구독 경제(feat. 유튜브, 넷플릭스, 쿠팡 ) (0) | 2020.07.25 |
---|